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7

[1-2] 사회복지의 가치와 윤리 : 핵심정리 및 빈칸채우기 [ 핵심정리 ] 1. 사회복지와 가치 ♤ 가치 - 특정집단이나 개인 또는 문화가 본질적으로 바람직하다고 받아들이는 신념, 의사결정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실천적 개념이다. - 사회복지실천이 정책 결정과 같이 거시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든, 기관의 사업계획이나 예산 수립, 직원의 채용과 업무 배치 및 기관 서비스 결정과 같이 중간적 수준에서 이루어지든, 사회복지사 개인과 클라이언트 체계 사이의 미시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지든지 간에 전문적 차원의 가치 기준 정립이 중요하다. 2. 사회복지의 기본가치 1) 사회복지실천에서 가치의 중요성(리머, 1999) (1) 사회복지실천의 본질적인 목적과 사명 (2) 클라이언트와 동료 혹은 다른 사회 구성원들과의 관계 (3) 서비스 전달과정의 개입 방법이나 개입 수준의 결정 (.. 2022. 3. 7.
[1-1] 사회복지의 개념과 이념 : 핵심정리, 빈칸채우기 [핵심정리] 1. 사회복지의 개념 1) 사회복지의 어의적 개념 - 사회복지는 어의적으로 '사회적(social)'과 '복지(wellfare)'의 두 단어의 복합명사이다. - 'Social'은 개인의 행복을 사회나 국가가 보장한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 '복지'는 well(좋은)과 fare(상태)의 합성어로 삶의 좋은 상태를 의미한다. - 결과적으로 사회복지는 개인의 삶의 행복을 국가가 보장하고 책임진다는 의미로 개인 복지와 대별되는 개념이다. - 사회복지는 인간의 존엄성을 기본 가치로 하는 인간 지향적이다. 2) 사회복지의 개념 변화 Romanyshyn(1971)은 사회복지 개념 변화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 보충적 개념에서 제도적 개념으로 - 자선에서 시민의 권리로 - 특수성에서 보편성으로 - .. 2022. 3. 6.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과 그의 근대적 교육관 1) 생애 루터는 독일 작센에서 1483년에 태어나 1546년까지 살았던 수도원 수사이자 신학자이었다. 그는 당시 일반 가정들처럼 경건하고 엄격한 종교적 가정 분위기에서 성장하였다. 1501년 루터는 독일에서 가장 역사가 깊고 학생 수가 많았던 에르푸르트대학교 인문학부에 등록했다. 학창 시절 오랫동안 심각하게 말하는 버릇 때문에 '철학자'라는 별명을 얻기도 하였다. 1502년 그는 일반 인문학부 과정을 이수하여 문학사 학위를, 1505년 17명의 이수자들 가운데 2등으로 문학석사 학위를 받았다. 루터가 가입한 2000개 이상의 지회를 거느리고 있었다. 그는 1506년 수사로서 서원을 했고, 1507년 사제 서품을 받고 처음으로 미사를 집전했다. 그가 만년에 쓴 에 따르면 1505년 7월 2일 부모를 방문.. 2021. 12. 27.
르네상스, 종교개혁운동과 근대적 인간교육의 출발 1. 르네상스 운동과 인문주의 교육 르네상스는 고전 학문과 그 가치에 대한 관심의 확대로 인간의 본성을 재발견하여 그의 존엄성을 드높이려는 지적 각성운동이다. 이러한 지적 각성운동은 신중심에서 인간 중심으로의 전환을 가져오게 한 계기가 되었기 때문에 당시의 학자들은 인문주의라고 하였다. 인문주의가 처음으로 시작되어 발전을 주도한 나라는 이탈리아이며, 그 대표적인 인물은 단테, 페트라르카, 레오나르도 다빈치 등이다. 인문주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모든 다양한 표현과 작품에서 인간의 본성을 그 주제로 삼고 있다. 둘째, 모든 철학, 신학의 학파와 그 체계에 나타나는 진리의 통일성과 조화성을 강조한다. 셋째, 인간의 존엄성을 강조한다. 인문주의자들은 인간의 활동에서 가장 고귀한 형태로 인.. 2021. 12. 25.
제2장 중세의 교육 2. 중세의 교육 형태 신중심 사상과 봉건제적 정치, 경제체제하에서 교육은 어떤 성격과 방식으로 진행되었을까? 간단히 요약하면 신중심 사상에 입각한 교육은 대표적으로 수도원 교육과 스콜라철학에 입각한 교육이 있었고, 봉건체제와 관련해서는 기사도 교육이 있었다. 이 양자는 기독교적 정신에 입각해 있다는 점에서는 공통적인 성격을 지니지만, 그 역할 면에서는 차이가 있다. 그 외에 중세기 말 상인 들의 비형식적 실업 기술 전수와 같은 조합 교육과 이러한 조합 형태를 띤 고등학문 전수를 위한 대학이 설립되었다. 가, 수도원 교육 기독교적 수도원은 명상적이고 신비적인 생활에 봉사하는 금욕주의자들에게서부터 발전하였다. 영원한 구원을 빋고 세속적인 향락과 실제적인 삶에서 떠나 금욕적인 신앙생활을 추구하였다. 따라서 수도원 생활을 하는 자들.. 2021. 12.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