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회복지사2급3

[1-2] 학교사회복지의 개요 Ⅱ : 핵심정리, 빈칸채우기 [ 핵심정리 ] 1. 학교사회복지의 목적 1) 학생의 교육목적 달성을 위한 지원 ① 학생에 대한 교육효과의 극대화 - 학업능력 향상, 상급학교 진학, 취업률 증대 ② 학생의 잠재력 개발 ③ 건강한 성장 지원 ④ 적절하고 적합한 학교교육 지원 ⑤ 조화로운 인간관계 형성 지원 등 2) 학생복지 도모 ① 요보호 학생들에 대한 지원 : 결식아동, 피학대 아동, 소년소녀 가장 등 ② 심리·정서적 문제 해결 : 친구관계, 정서적 감정 등 ③ 일반학생들에 대한 개입 : 다양한 예방프로그램 ④ 다양한 체계를 동원한 학생지원 : 가족-학교-지역사회의 연계 2. 학교사회복지의 기능 1) 학교사회복지의 일반적 기능 (1) 치료적 기능 ⦁학교생활 부적응학생 대상 직접서비스(주로 개인수준 사회복지실천 활용) (2) 예방적 기능.. 2022. 3. 9.
[1-1] 학교사회복지의 개요 Ⅰ: 핵심정리, 빈칸채우기 [ 핵심정리 ] 1.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 1) 교육의 의미 ⦁1970년대 눈부신 경제성장과 발전은 국가차원의 교육투자와 국민들의 교육열(개인의 성취와 사회참여, 계층상승의 기회) ⦁1990년대 중반 이후 경제위기와 청소년문제 심화. 교육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교육기회와 학생의 교육적 성취가 결정되는 상황 2) 교육 현실과 한계 (1) 학생 개인적 차원 ⦁학교폭력, 집단 따돌림 ⦁잦은 지각과 결석 등의 학교부적응 ⦁가출청소년 증가세 ⦁아동의 삶의 만족도는 OECD 국가 중 최하위 : 학업스트레스, 학교폭력, 인터넷 중독, 방임, 사이버폭력 ⦁아동의 결핍지수도 가장 높음 : 정기적 취미활동(음악, 스포츠, 동아리 활동) ⦁그밖에 다양한 문제(외현화된 행동/내재화된 행동/사회문제) ⦁OECD 국.. 2022. 3. 9.
[1-1] 사회복지의 개념과 이념 : 핵심정리, 빈칸채우기 [핵심정리] 1. 사회복지의 개념 1) 사회복지의 어의적 개념 - 사회복지는 어의적으로 '사회적(social)'과 '복지(wellfare)'의 두 단어의 복합명사이다. - 'Social'은 개인의 행복을 사회나 국가가 보장한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 '복지'는 well(좋은)과 fare(상태)의 합성어로 삶의 좋은 상태를 의미한다. - 결과적으로 사회복지는 개인의 삶의 행복을 국가가 보장하고 책임진다는 의미로 개인 복지와 대별되는 개념이다. - 사회복지는 인간의 존엄성을 기본 가치로 하는 인간 지향적이다. 2) 사회복지의 개념 변화 Romanyshyn(1971)은 사회복지 개념 변화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 보충적 개념에서 제도적 개념으로 - 자선에서 시민의 권리로 - 특수성에서 보편성으로 - .. 2022. 3.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