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7

[1-6] 사회조사의 유형과 절차 : 핵심정리, 빈칸채우기 [ 핵심정리 ] 1. 사회조사의 절차 1) 연구문제의 형성(formulation of research problems) ⦁연구문제의 형성은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인 연구주제를 선정하는 것 ⦁연구문제를 형성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사회현상에 대한 의문으로부터 출발함 ⦁연구문제는 창의적인 것이어야 하며, 실제로 연구자가 조사를 통해 가능한 것이어야 함 ⦁연구문제를 설정할 때는 그것을 해결하는 데 소용되는 비용이나 시간, 윤리적인 측면 등을 고려해야 함 ※ 사회복지조사에서 문제가 도출되는 경로 ① 기존지식의 한계가 확인될 때 - 때때로 사회복지현상이나 형태가 기존의 이론이나 지식과 관련이 없거나 불충분함이 확인될 때 연구자는 의문을 갖게 됨 ② 조사문제나 해답이 실천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경우 - 사회복지조사에서.. 2022. 3. 28.
[1-5] 사회조사의 유형 : 핵심정리, 빈칸채우기 [ 핵심정리 ] 1. 조사목적에 따른 분류 1) 탐색적 조사(exploratory study) (1) 탐색적 조사의 정의 ⦁탐색적 목적의 조사는 어떤 문제 영역에 대한 선행지식이 부족하거나 문제에 대한 통찰을 얻은 후 연구문제를 형성하거나 가설을 설정하기 위해, 중요한 연구에서 사용할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됨 ⦁기술적 조사나 설명적 조사에 앞서 예비적으로 수행된다 하여 예비조사(pilot study)라고도 불리며 많이 사용되는 방식임 ⦁탐색적 조사는 명확한 연구가설과 구체적 조사계획이 사전에 수립될 필요가 없고, 융통성 있게 수정가능하며, 연구문제에 대한 사전지식이 부족할 경우 실시함 ⦁사회복지분야의 연구들 중 특정한 주제에 대한 탐색, 즉 어떤 주제에 대해서 잘 알고자 하는 목적을 가.. 2022. 3. 28.
[1-3] 사회조사방법의 개념과 변수 : 핵심정리, 빈칸채우기 [ 핵심정리] 1. 개념과 변수 1) 개념(concept) ⦁개념(concept)은 ‘어떤 사물 현상에 대한 일반적 지식’ 혹은 ‘여러 관념 속에서 공통 요소를 뽑아내어 종합하여 얻은 하나의 보편적인 관념’ ⦁경험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어떤 대상이나 현상을 대변하는 것 ⦁개념 용어, 단어 혹은 상징으로도 표현되며 서로 다른 개체들이 가지는 공통성을 나타냄 ⦁개념을 통해서 우리는 세상을 이해할 수 있게 되고, 사물이나 현상을 지칭하는 대부분의 것들이 개념이 됨 ⦁예) 나이, 몸무게, 아동, 노인, 옷, 꽃, 우울, 도박 등 ⦁구체적 개념과 추상적 개념으로 구분함 ⦁예) ‘돌’의 개념 - ‘돌’이란 개념이 있다면 시골길에서 보는 돌이 있고 산에서 보는 돌이 있음 - 또한 바닷가에서도 돌을 볼 수 있음 - 이.. 2022. 3. 28.
[1-4] 사회조사방법의 가설과 이론 : 핵심정리, 빈칸채우기 [ 핵심정리 ] 1. 가설의 개념 정의 1) 가설의 정의 ⦁어떤 현상을 설명하거나 그 현상과 관계된 변수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가정적으로 설명하는 것 ⦁가설은 두 개 이상의 변수나 현상 간의 특별한 관계를 검증 가능한 형태로 서술하여 변수들 간의 관계를 가정 혹은 예측하는 진술이나 문장 ⦁가설은 실증적인 확인을 위해 구체적이어야 하고, 현상과 관련성을 가져야 하며, 아직 진실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사실 (1) 과학적 조사방법의 단계 ① 조사문제의 선정 ② 가설을 설정하여 조사문제를 구체화 ③ 가설의 실증적인 검증(참인지, 거짓인지) 2) 가설 설정의 필요성 ⦁조사문제에 대한 정확한 해답을 얻기 위해, 조사문제를 보다 확실하게 논리적으로 검증하기 위함 ⦁가설을 설정함으로써 조사문제의 초점을 명확하게.. 2022. 3. 28.
[1-6] 사회복지실천 : 핵심정리, 빈칸채우기 [ 핵심정리 ] I. 사회복지실천의 개괄 1. 사회복지실천의 정의 ⦁Alexander(1977) :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사람과 그들의 사회단위가 사람들의 심리사회기능이 향상되도록 활동들을 변화시키는 전문적으로 무장된 체계이다" ⦁Boehm(1959) : '개인 한 명, 또는 개인들 집단의 사회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손상된 능력의 복귀, 개인적 또는 사회적 자원의 제공, 사회역기능의 예방을 뜻함 ⦁사회복지실천이란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복지현장에서 직접적으로 행동하는 것으로, 클라이언트와 그를 둘러싼 환경과의 문제에서 사회복지사에 의해서 지식, 기술, 가치 등을 적절히 고려하여 개인, 집단, 가족,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각자의 문제와 욕구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전문적.. 2022. 3.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