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조사론

[1-4] 사회조사방법의 가설과 이론 : 핵심정리, 빈칸채우기

by 정 그릿 2022. 3. 28.
반응형

[ 핵심정리 ]

 

1. 가설의 개념 정의

 

1) 가설의 정의

⦁어떤 현상을 설명하거나 그 현상과 관계된 변수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가정적으로 설명하는 것

⦁가설은 두 개 이상의 변수나 현상 간의 특별한 관계를 검증 가능한 형태로 서술하여 변수들 간의 관계를 가정 혹은 예측하는 진술이나 문장

⦁가설은 실증적인 확인을 위해 구체적이어야 하고, 현상과 관련성을 가져야 하며, 아직 진실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사실

 

 

(1) 과학적 조사방법의 단계

① 조사문제의 선정

② 가설을 설정하여 조사문제를 구체화

③ 가설의 실증적인 검증(참인지, 거짓인지)

 

 

2) 가설 설정의 필요성

⦁조사문제에 대한 정확한 해답을 얻기 위해, 조사문제를 보다 확실하게 논리적으로 검증하기 위함

⦁가설을 설정함으로써 조사문제의 초점을 명확하게 정할 수 있고, 가설에 포함된 변수간 관계를 검증하는 과정에서 변수나 개념들 간의 논리적 연관성을 찾게 됨

⦁이는 과학적 이론의 개발과 형성에 기여함

 

 

3) 가설 구성의 과정

⦁첫째, 연구주제와 관련된 이론, 연구논문을 많이 읽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음 - 그러나 무작정 많은 논문을 읽는 것보다 가설의 아이디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자신의 연구주제와 관련 있는 논문을 찾아서 읽는 것이 중요함

⦁둘째, 다른 사람의 논문을 읽는 과정에 그 논문과 비슷한 관점에서 또는 다른 관점에서 연구주제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음 - 독창적인 가설을 찾아낼 수 있는 능력은 논문을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는 많은 훈련을 통해서 형성됨

⦁셋째, 연구주제와 관련하여 현실을 관찰,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함 - 많은 경우 현실을 관찰, 분석하는 과정에서 연구주제에 관한 좋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음

 

 

2. 가설의 작성과 유형

 

1) 가설의 작성방법

⦁가설 형식은 두 가지의 문장을 하나의 조건문 형태의 복문으로 결합한 형태를 취하며, 선정된 변수들과 이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냄

(1) 만약 A이면, B이다.

⦁A : 가설의 선행 조건

⦁B : 가설의 결과 조건

⦁만일 A가 진실이면 B도 진실이다.

 

(2) ~할수록 ~하다.

⦁A할수록 B하다.

⦁예) 청소년이 학교 결석횟수가 증가할수록 학업성취도는 낮을 것이다.

 

 

2) 가설은 어떻게 서술해야 하는가?

 

(1) 가설은 둘 이상의 변수들이 어떤 형태로 서로 관련되어 있는지를 명확하게 서술해야 함

⦁‘A가 변하면 B도 변한다.’라든지 혹은 더 구체적으로 ‘A가 증가할 때, B는 감소한다.’의 서술처럼 방향성까지 제시할 수 있으면 더욱 좋음

 

(2) 가설에 포함된 변수들은 조작적 정의와 측정이 가능해야 함

⦁실증적 조사를 통해 가설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려면, 가설에 포함되는 개념

- 예: 소득, 학업성취, OO만족도 등이 측정 가능한 수준으로 조작화 될 수 있어야 함

⦁조작화(조작적 정의)를 통해 추상적인 개념은 측정 가능한 구체적인 ‘변수’가 됨

 

(3) 확률적 속성을 지녀야 함

⦁조사를 통해 가설의 진위여부를 100% 증명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함

⦁다만 조사를 통해 가설이 참일 가능성을 확률적으로 높여야 함

⦁가설을 검증하는 과정에서 가설을 의심하게 만드는 다른 변수들의 개입 가능성을 통제해야 함

 

(4) 조사자의 편견을 배제하고 가치중립적으로 서술해야 함

⦁가설은 조사자의 단순한 주관에 의해서 설정되는 것이 아니라 선행이론이나 연구에 토대를 두고 논리적으로 도출되어야 함

 

(5) 가설은 단순명료해야 함

⦁종속변수를 설명하기 위해 설정하는 가설은 최대한 간결하게 서술해야 함

⦁가설에 포함되는 변수 또한 최소한의 변수만 포함하여(독립변수와 종속변수, 필요하다면 조절, 매개변수 정도만 포함하는 선에서) 간결하게 서술함

⦁독립변수가 둘 이상인 것은 좋지 않음(필요하다면 간단한 가설로 분리하는 것이 좋음)

 

(6) 가정적 형태의 서술, 선언적 형태의 서술 모두 가능함

⦁가설은 가정적인 형태(‘~일 것이다’)로 서술할 수도 있고, 선언적인 형태(‘~이다’)로 서술할 수도 있음

 

(7) 측정 가능한 것으로 서술되어야 함

⦁변수들 간의 관계는 경험적인 검증이 필수적이기 때문

※ 가설 구성은 연구의 성패를 좌우할 만큼 중요함※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결과는 결국은 가설을 어떻게 적절히 구성하였느냐에 달려있음

 

 

3) 가설은 어떻게 서술해야 하는가?

 

(1) 연구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어야 함

⦁가설은 연구자가 연구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해 답을 얻기 위해서 구성함

⦁그러므로 가설은 연구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고 검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함

 

(2) 가설은 연구 분야의 다른 가설이나 이론과 연관이 있어야 함

⦁가설은 연구주제를 조사가능한 구체적인 형태로 조작화한 것이므로 관련이 있는 다른 가설과 이론들에 바탕을 두고 있어야 함

 

(3) 가설은 경험적으로 검증할 수 있어야 함

⦁가설은 실증적인 조사를 통해 검증할 수 있어야 함

⦁가설에 포함된 변수들이 직접 측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이들 변수들을 잘 대변하면서 측정 가능한 대체개념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검증해야 함

 

(4) 가설의 표현은 간단명료해야 함

⦁가설을 구성하는 문구에 설명이나 수식어구가 들어가는 것은 좋지 않으며,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만을 간단히 기술하는 것이 좋음

 

(5) 가설은 가능한 하나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로 기술함

⦁예를 들어 “IQ가 높고 부유한 학생들은 학교 성적이 높다”라고 가설을 설정하는 것은 독립변수(IQ, 부유함)가 두 개 있어서 좋지 않음

⦁이 경우에는 “IQ가 높은 학생일수록 학교 성적이 높다.”와 “부유한 학생일수록 학교 성적이 높다.”로 가설을 나누는 것이 좋음

 

(6) 가설은 가능하면 광범위한 적용범위를 가지고 있어야 함

⦁가설이 적용되는 범위가 매우 좁다면 가설검증결과가 유용하게 쓰이지 못하고, 지식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지 못할 것임

⦁예를 들어 “IQ 110 이상의 학생들이 학교 성적 상위 10%에 속하는 비율이 높을 것이다”라고 가설을 세우는 것보다 “IQ가 높을수록 학교 성적이 높을 것이다.”라고 가설을 세우는 게 더 좋음

 

(7) 너무 당연한 관계를 가설로 세우는 것은 좋지 않음

⦁예를 들어 “대학생들의 평균 연령은 고등학생들의 평균연령보다 많을 것이다”와 같이 당연한 사실은 가설로서는 적합하지 못함

 

 

4) 가설의 유형

 

(1) 연구가설(=실험가설)

⦁과학적 가설, 작업가설, 실험가설이라고 불리며, 영가설을 통해 간접적으로 검증됨

⦁연구가설은 영가설과 반대로 가설을 설정하는 것을 말함

⦁연구가설은 2개 이상의 모집단 또는 변수 간에 차이가 있다고 가정하는 것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친다고 예측하는 것을 의미함

⦁이론으로부터 도출된 가설로서 검증될 때 까지는 조사문제에 대한 잠정적 해답으로 간주되는 가설

⦁연구가설의 예) 일하는 노인이 일하지 않는 노인보다 생활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2) 영가설(=귀무가설, H0)

⦁연구가설을 부정하거나 기각(반증)하기 위해 설정하는 가설

⦁변수간의 차이가 없다거나 관계가 없다는 내용으로 서술됨

⦁영가설은 2개 이상의 모집단 또는 변수간의 차이가 없음을 예측하는 것을 말함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가정하는 것을 의미함

⦁가설검증의 경우에는 영가설이 많이 사용되며, 통계학적 분석에서 연구가설에 대한 반증의 목적으로 활용됨

⦁분석결과에 따라 영가설 채택 → 연구가설 기각/영가설 기각 → 연구가설 채택

⦁영가설의 예) 일하는 노인은 일하지 않는 노인과 생활만족도에 차이가 없을 것이다.

 

(3) 대립가설(대안가설, H1)

⦁영가설에 대립되는 가설, 즉 영가설이 거짓일 때 채택하기 위해 설정되는 가설

⦁대립가설은 두 변수간의 ‘관계가 있다’거나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다’는 내용으로 서술함

⦁대립가설의 예) 일하는 노인은 일하지 않는 노인과 생활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3. 연역적 이론과 귀납적 이론

 

1) 연역적 이론체계

⦁연역적 방법은 일반적(general)인 것으로부터 특수한(specific) 것을 추론해 내는 방법

⦁실증주의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방법이며, 삼단논법은 연역법의 대표적인 예

⦁삼단논법의 예

 

⦁연구주제를 ‘가설’의 형태로 세워 실증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함

⦁기존의 이론이나 명제를 토대로 변수 간 관계를 논리적으로 추론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이 가설을 현실에서도 검증될 수 있는지 관찰하여 확인하는 절차를 취함

⦁가설검증을 위한 측정가능한 형태로 정의(조작화 또는 조작적 정의)해야 하며, 자료수집을 할 때는 서베이, 실험, 면접이나 관찰 등을 실시할 수도 있음

 

2) 귀납적 이론체계

⦁귀납적 방법은 어떤 구체적 현실을 관찰하여 그 속에 내재해 있는 일반화된 논리를 끌어내어 이론화하는 방법

⦁경험세계에서 관찰된 개별적 사실들 속에 내재하는 공통된 패턴이나 유형을 발견하여 그것을 이론으로 정립하는 과정을 밟음

⦁연역법과 달리 가설을 미리 설정하지 않음

⦁객관적이기 위해서는 현상의 분석절차와 방법이 계량적이어야 하며, 이를 위해 통계적 분석이 필요함

⦁귀납적 방법은 특수한(specific) 사실을 전제로 하여 일반적(general) 원리로서 결론을 내리는 방법임

3) 연역적 방법과 귀납적 방법의 관계

⦁논리적으로는 연역적 방법과 귀납적 방법을 구별할 수 있지만, 실제 연구과정에서는 두 방법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는 순환과정을 거침

⦁연역법과 귀납법은 상호 배타적이지 않으며 상호보완적임 - 어느 한편이 상대적으로 더 우월한 관계도 아님

 

[ 빈칸채우기 ]

 

1. 가설의 개념 정의

 

1) 가설의 정의

⦁어떤 현상을 설명하거나 그 현상과 관계된 변수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   )적으로 설명하는 것

⦁가설은 두 개 이상의 변수나 현상 간의 특별한 관계를 (   ) 가능한 형태로 서술하여 변수들 간의 관계를 (   ) 혹은 (   )하는 진술이나 문장

⦁가설은 (   )적인 확인을 위해 (   )이어야 하고, 현상과 관련성을 가져야 하며, 아직 (   )가 확인되지 않은 사실

 

 

(1) 과학적 조사방법의 단계

① (   )의 선정

② (   )을 설정하여 조사문제를 (   )

③ 가설의 실증적인 (   )

 

 

2) 가설 설정의 필요성

⦁조사문제에 대한 정확한 (   )을 얻기 위해, 조사문제를 보다 확실하게 논리적으로 (   )하기 위함

⦁가설을 설정함으로써 조사문제의 초점을 명확하게 정할 수 있고, 가설에 포함된 변수간 관계를 검증하는 과정에서 변수나 개념들 간의 (   )을 찾게 됨

⦁이는 (   )적 이론의 개발과 형성에 기여함

 

 

3) 가설 구성의 과정

⦁첫째, 연구주제와 관련된 (   )을 많이 읽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음 - 그러나 무작정 많은 (   )을 읽는 것보다 가설의 아이디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자신의 연구주제와 관련 있는 (   )을 찾아서 읽는 것이 중요함

⦁둘째, 다른 사람의 논문을 읽는 과정에 그 논문과 비슷한 관점에서 또는 다른 관점에서 연구주제를 (   )해 볼 필요가 있음 - 독창적인 가설을 찾아낼 수 있는 능력은 논문을 (   ) 관점에서 분석하는 많은 훈련을 통해서 형성됨

⦁셋째, 연구주제와 관련하여 (   )을 관찰,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함 - 많은 경우 현실을 관찰, 분석하는 과정에서 연구주제에 관한 좋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음

 

 

2. 가설의 작성과 유형

 

1) 가설의 작성방법

⦁가설 형식은 두 가지의 문장을 하나의 (   ) 형태의 복문으로 결합한 형태를 취하며, 선정된 변수들과 이들 사이의 (   )를 나타냄

(1) 만약 A이면, B이다.

⦁A : 가설의 (   ) 조건

⦁B : 가설의 (   ) 조건

⦁만일 A가 진실이면 B도 진실이다.

 

(2) ~할수록 ~하다.

⦁A할수록 B하다.

⦁예) 청소년이 학교 결석횟수가 증가할수록 학업성취도는 낮을 것이다.

 

 

2) 가설은 어떻게 서술해야 하는가?

 

(1) 가설은 (   ) 이상의 변수들이 어떤 형태로 서로 관련되어 있는지를 명확하게 서술해야 함

⦁‘A가 변하면 B도 변한다.’라든지 혹은 더 구체적으로 ‘A가 증가할 때, B는 감소한다.’의 서술처럼 방향성까지 제시할 수 있으면 더욱 좋음

 

(2) 가설에 포함된 변수들은 (   ) 정의와 (   )이 가능해야 함

⦁실증적 조사를 통해 가설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려면, 가설에 포함되는 개념

- 예: 소득, 학업성취, OO만족도 등이 측정 가능한 수준으로 조작화 될 수 있어야 함

⦁(   )(조작적 정의)를 통해 추상적인 개념은 (   ) 가능한 구체적인 ‘변수’가 됨

 

(3) (   )적 속성을 지녀야 함

⦁조사를 통해 가설의 진위여부를 100% 증명하는 것은 사실상 (   )함

⦁다만 조사를 통해 가설이 참일 가능성을 (   )적으로 높여야 함

⦁가설을 검증하는 과정에서 가설을 의심하게 만드는 다른 변수들의 (   )을 통제해야 함

 

(4) 조사자의 편견을 배제하고 (   )적으로 서술해야 함

⦁가설은 조사자의 단순한 주관에 의해서 설정되는 것이 아니라 선행이론이나 연구에 토대를 두고 논리적으로 도출되어야 함

 

(5) 가설은 (   )해야 함

⦁종속변수를 설명하기 위해 설정하는 가설은 최대한 (   )하게 서술해야 함

⦁가설에 포함되는 변수 또한 최소한의 변수만 포함하여(독립변수와 종속변수, 필요하다면 조절, 매개변수 정도만 포함하는 선에서) 간결하게 서술함

⦁(   )가 둘 이상인 것은 좋지 않음(필요하다면 간단한 가설로 분리하는 것이 좋음)

 

(6) 가정적 형태의 서술, 선언적 형태의 서술 모두 가능함

⦁가설은 (   )적인 형태(‘~일 것이다’)로 서술할 수도 있고, (   )적인 형태(‘~이다’)로 서술할 수도 있음

 

(7) 측정 가능한 것으로 서술되어야 함

⦁변수들 간의 관계는 (   )적인 검증이 필수적이기 때문

※ 가설 구성은 연구의 성패를 좌우할 만큼 중요함※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결과는 결국은 가설을 어떻게 적절히 (   )하였느냐에 달려있음

 

 

3) 가설은 어떻게 서술해야 하는가?

 

(1) 연구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어야 함

⦁가설은 연구자가 연구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해 (   )을 얻기 위해서 구성함

⦁그러므로 가설은 연구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고 (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함

 

(2) 가설은 연구 분야의 다른 가설이나 이론과 연관이 있어야 함

⦁가설은 연구주제를 조사가능한 구체적인 형태로 (   )한 것이므로 관련이 있는 다른 가설과 이론들에 바탕을 두고 있어야 함

 

(3) 가설은 경험적으로 검증할 수 있어야 함

⦁가설은 (   )적인 조사를 통해 검증할 수 있어야 함

⦁가설에 포함된 변수들이 직접 측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이들 변수들을 잘 대변하면서 측정 가능한 대체개념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검증해야 함

 

(4) 가설의 표현은 (   )해야 함

⦁가설을 구성하는 문구에 (   )이나 (   )가 들어가는 것은 좋지 않으며, (   )와 (   )의 관계만을 간단히 기술하는 것이 좋음

 

(5) 가설은 가능한 하나의 (   )와 (   ) 간의 관계로 기술함

⦁예를 들어 “IQ가 높고 부유한 학생들은 학교 성적이 높다”라고 가설을 설정하는 것은 독립변수(IQ, 부유함)가 두 개 있어서 좋지 않음

⦁이 경우에는 “IQ가 높은 학생일수록 학교 성적이 높다.”와 “부유한 학생일수록 학교 성적이 높다.”로 가설을 나누는 것이 좋음

 

(6) 가설은 가능하면 (   )한 적용범위를 가지고 있어야 함

⦁가설이 적용되는 범위가 매우 좁다면 가설검증결과가 유용하게 쓰이지 못하고, 지식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지 못할 것임

⦁예를 들어 “IQ 110 이상의 학생들이 학교 성적 상위 10%에 속하는 비율이 높을 것이다”라고 가설을 세우는 것보다 “IQ가 높을수록 학교 성적이 높을 것이다.”라고 가설을 세우는 게 더 좋음

 

(7) (   )한 관계를 가설로 세우는 것은 좋지 않음

⦁예를 들어 “대학생들의 평균 연령은 고등학생들의 평균연령보다 많을 것이다”와 같이 당연한 사실은 가설로서는 적합하지 못함

 

 

4) 가설의 유형

 

(1) (   )

⦁과학적 가설, 작업가설, 실험가설이라고 불리며, 영가설을 통해 간접적으로 검증됨

⦁연구가설은 영가설과 반대로 가설을 설정하는 것을 말함

⦁연구가설은 2개 이상의 모집단 또는 변수 간에 차이가 있다고 가정하는 것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친다고 예측하는 것을 의미함

⦁이론으로부터 도출된 가설로서 검증될 때 까지는 조사문제에 대한 잠정적 해답으로 간주되는 가설

⦁연구가설의 예) 일하는 노인이 일하지 않는 노인보다 생활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2) (   )

⦁연구가설을 부정하거나 기각(반증)하기 위해 설정하는 가설

⦁변수간의 차이가 없다거나 관계가 없다는 내용으로 서술됨

⦁영가설은 2개 이상의 모집단 또는 변수간의 차이가 없음을 예측하는 것을 말함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가정하는 것을 의미함

⦁가설검증의 경우에는 영가설이 많이 사용되며, 통계학적 분석에서 연구가설에 대한 반증의 목적으로 활용됨

⦁분석결과에 따라 영가설 채택 → 연구가설 기각/영가설 기각 → 연구가설 채택

⦁영가설의 예) 일하는 노인은 일하지 않는 노인과 생활만족도에 차이가 없을 것이다.

 

(3) (   )

⦁영가설에 대립되는 가설, 즉 영가설이 거짓일 때 채택하기 위해 설정되는 가설

⦁대립가설은 두 변수간의 ‘관계가 있다’거나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다’는 내용으로 서술함

⦁대립가설의 예) 일하는 노인은 일하지 않는 노인과 생활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3. 연역적 이론과 귀납적 이론

 

1) (   )적 이론체계

⦁(   )적 방법은 일반적(general)인 것으로부터 특수한(specific) 것을 추론해 내는 방법

⦁실증주의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방법이며, 삼단논법은 (   )법의 대표적인 예

⦁삼단논법의 예

 

⦁연구주제를 ‘가설’의 형태로 세워 실증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함

⦁기존의 이론이나 명제를 토대로 변수 간 관계를 논리적으로 추론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이 가설을 현실에서도 검증될 수 있는지 관찰하여 확인하는 절차를 취함

⦁가설검증을 위한 측정가능한 형태로 정의(조작화 또는 조작적 정의)해야 하며, 자료수집을 할 때는 서베이, 실험, 면접이나 관찰 등을 실시할 수도 있음

 

2) (   )적 이론체계

⦁(   )적 방법은 어떤 구체적 현실을 관찰하여 그 속에 내재해 있는 일반화된 논리를 끌어내어 이론화하는 방법

⦁경험세계에서 관찰된 개별적 사실들 속에 내재하는 공통된 패턴이나 유형을 발견하여 그것을 이론으로 정립하는 과정을 밟음

⦁(   )법과 달리 가설을 미리 설정하지 (   )

⦁객관적이기 위해서는 현상의 분석절차와 방법이 (   )적이어야 하며, 이를 위해 (   )적 분석이 필요함

⦁(   )적 방법은 특수한(specific) 사실을 전제로 하여 일반적(general) 원리로서 결론을 내리는 방법임

3) 연역적 방법과 귀납적 방법의 관계

⦁논리적으로는 연역적 방법과 귀납적 방법을 구별할 수 있지만, 실제 연구과정에서는 두 방법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는 (   )과정을 거침

⦁연역법과 귀납법은 (   )적이지 않으며 (   )적임 - 어느 한편이 상대적으로 더 우월한 관계도 아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