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회복지실천기술론4

[1-4] 정신역동모델의 이해 (2) : 핵심정리, 빈칸채우기 [ 핵심정리 ] 1. 정신역동모델의 개입목표와 과정 1) 개입목표 ⦁아동기의 양육과정에서의 부정적 경험을 교육과정에서 교정하는 측면을 가지며 클라이언트가 과거의 경험에서 갖게 된 불안한 감정이나 무의식적 갈등을 의식화하여 이러한 것들이 어떻게 현재 자신의 행동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통찰하도록 돕는 것 2) 개입과정 (1) 관계형성 단계 ⦁본격적인 원조 과정으로 들어가기 위해 치료자인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신뢰관계를 형성하는 단계 ⦁불안에 직면한 클라이언트에게 명확한 해석이나 통찰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신뢰관계를 우선 형성하여 클라이언트가 덜 방어적인 태도를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함 (2) 동일시를 통한 자아구축 단계 ⦁클라이언트는 자신을 사회복지사와 동일시하기 시작하여 사회복지사의 생각과 태.. 2022. 3. 14.
[1-3] 정신역동모델의 이해 (1) : 핵심정리, 빈칸채우기 [ 핵심정리 ] 1. 정신역동모델의 철학과 기본개념 ⦁ 창시자 : 프로이드 - 자유연상과 꿈의 해석 등을 통해 무의식 세계를 연구함 ⦁ 정신역동(psychodynamics)은 정신역학이라고도 하며, 그 의미는 정신이 정체해 있기보다는 움직인다는 것을 뜻함 ⦁ 또한 정신분석이론이라고도 하며 인간의 정신과 여러 가지 힘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이론으로 인간의 마음 속 깊은 곳에서 일어나는 서로 다른 다양한 힘들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강조함 1) 정신역동모델의 철학적 기본 가정 ⦁인간의 동기 중 생물학적 욕구가 일차적으로 중요성을 가짐 ⦁인간의 행동은 목적이 있으나 무의식적인 동기에 의해 크게 좌우됨 ⦁인간의 마음 혹은 정신은 다양한 힘들이 상호작용하는 에너지 체계임 ⦁인간의 무의식적 동기 중에서 성적 욕구가 .. 2022. 3. 14.
[1-2] 사회복지사의 윤리와 전문직의 정체성 : 핵심정리, 빈칸채우기 [ 핵심정리 ] 1.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가치와 윤리 1) 가치와 윤리 ⦁가치는 ‘무엇이 좋고 바람직한가’ 와 관계되는 반면, 윤리는 ‘무엇이 맞고 옳은가’ 와 관계가 있음 (Lowenberg & Dolgoff, 1996) - 가치는 방향을 제시 해 줌 - 윤리는 행동의 원칙이나 지침을 제공함 - 윤리적 딜레마는 양자의 선택이 다 이유가 있는 상황으로 규정하며 윤리는 가치에서 나오기 때문에 가치와 조화를 이루어야 함 2) 전문가 가치와 윤리강령의 핵심가치 (1) 전문가 가치 ⦁전문직 활동의 평가와 책임소재의 근거가 되며, 어떠한 직업이 전문적으로 인정되는 과정에서 그 전문직의 독특한 실천 활동과 관련하여 요구하는 가치임 (2) 사회복지사의 의사결정에 있어서 가치의 중요성 ⦁사회복지사나 그가 진행하는 프로.. 2022. 3. 14.
[1-1]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지식과 기술 : 핵심정리, 빈칸채우기 [핵심정리] 1.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지식 ⦁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은 다양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사회복지사가 어떤 활동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실천방법) ⦁ 대상, 방법, 범위에 따라 개별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조직 세 가지 방법으로 발달, 교육 → 통합방법론이 대두 → 사회복지실천론(이론중심), 사회복지실천기술론(기술중심)으로 구분 ⦁ 사회사업의 가치, 원리, 기법을 전문적으로 응용 ⦁ 사회복지사가 사회복지실천을 하기 위해서는 전문적 지식과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범주의 활용가능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 1) 사회복지사의 지식기반의 필요성 ⦁ 정서적·인지적·행동적·발달적인 측면에서 인간을 이해하기 위한 지식이 필요하며, 인간의 다양성과 상호작용에 대한 지식이 요구됨 ⦁ 원조관.. 2022. 3.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