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실천기술론

[1-3] 정신역동모델의 이해 (1) : 핵심정리, 빈칸채우기

by 정 그릿 2022. 3. 14.
반응형

[ 핵심정리 ]

 

1. 정신역동모델의 철학과 기본개념

⦁ 창시자 : 프로이드

- 자유연상과 꿈의 해석 등을 통해 무의식 세계를 연구함

 

⦁ 정신역동(psychodynamics)은 정신역학이라고도 하며, 그 의미는 정신이 정체해 있기보다는 움직인다는 것을 뜻함

⦁ 또한 정신분석이론이라고도 하며 인간의 정신과 여러 가지 힘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이론으로 인간의 마음 속 깊은 곳에서 일어나는 서로 다른 다양한 힘들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강조함

 

1) 정신역동모델의 철학적 기본 가정

⦁인간의 동기 중 생물학적 욕구가 일차적으로 중요성을 가짐

⦁인간의 행동은 목적이 있으나 무의식적인 동기에 의해 크게 좌우됨

⦁인간의 마음 혹은 정신은 다양한 힘들이 상호작용하는 에너지 체계임

⦁인간의 무의식적 동기 중에서 성적 욕구가 중요함

⦁어린 시절의 경험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과거 경험을 통해 인간의 행동을 이해할 수 있음

⦁상담의 목표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무의식적인 동기를 의식의 수준에서 이해하도록 하는데 있음

⦁사회는 개인이 에너지를 방출시키는 방법을 모두 허용하는 것이 아니고 일정 정도 통제와 제약을 가함 에너지를 방출하고 긴장을 감소시키고 싶은 개인과 통제를 가하는 사회는 갈등을 겪음

⦁인간 내부에는 삶의 본능과 죽음의 본능이 있으며, 인간 내부에서도 내적 갈등이 생김

 

2) 정신역동모델의 주요 개념

 

(1) 의식의 수준(지형학적 관점, 마음의 구성)

 

① 의식

- 우리가 자신에게 주의를 기울이는 바로 그 순간에 알아차릴 수 있는 경험과 감각들을 뜻함

- 보고, 듣고, 만지고, 냄새 맡고, 맛보는 것과 같은 여러 가지 감각을 인식하고, 슬픔과 고통 같은 것을 쉽게 알아차릴 수 있는 정신생활의 영역, 깨어있을 때, 작용하는 영역임

 

② 무의식

- 무의식은 정신내용의 대부분에 해당되며 인간 행동의 동기가 됨

- 무의식의 내용들은 인간행동의 동기로 작용하기 때문에 프로이드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임

- 무의식은 정신의 가장 깊은 곳에 위치해 있으며, 우리가 지각하지 못하는 경험과 기억으로 구성됨

- 정신분석의 초점이 되는 부분이고 인간행동을 결정하는 주된 원인인데, 인식하거나 직접 확인할 수는 없음

- 무의식은 인간 정신의 가장 크고 깊은 곳에 있으며 의식적 사고와 행동을 전적으로 통제하는 힘

- 방어기제도 무의식의 일부분으로 나타남

 

③ 전의식

- 의식과 무의식의 중간 지점에 있으면서 이 두 가지의 교량 역할을 함

- 현재는 의식하지 못하지만 조금만 노력하여 회상하려고 마음을 집중하면 전의식에 저장된 기억이나 지각, 생각 등을 의식으로 가져올 수 있음

 

(2) 성격의 구조

 

① 원초아(id)

- 무의식 안에 감추어진 일차적인 정신의 힘

- 성격의 기초가 되는 기본 욕구와 충동을 대표함

- 인간이 생존하는 데 필요한 모든 본능

- 쾌락원리(pleasure principle)의 지배를 받음

 

② 자아(ego)

- 원초아의 욕구를 현실적인 방법으로 충족시키기 위해 기능함

- 자아는 마음의 이성적인 요소이며, 출생하면서부터 경험을 통해 발달함

- 원초아에 비해 자아는 조직적이고 구체적인 정신도구임

- 자아는 성격의 조정자로서 인간의 생각과 행동을 통제함

- 자아는 개인이 객관적인 현실세계와 상호 작용할 필요가 있을 때 원초아에서 분리됨

- 현실원칙(reality principle)에 따라 사회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방법을 발견할 때까지 쾌락을 추구하는 긴장해소는 유보함

- 이성적인 차원에서 행동의 결과를 평가하고 자신의 행동 과정을 결정함

- 이차 사고 과정 : 본능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

ex) 배고픈 경우 음식에 대한 이미지나 환상을 갖는 것이 아니라 환경이 마련될 때까지 기다리거나 욕구충족을 보류시키는 것

 

③ 초자아(superego)

- 3세~5세 사이에 발달하며, 부모가 아이에게 전달하는 사회의 가치와 관습을 말함

- 초자아는 자아로부터 발달하는데, 주요 기능은 옳고 그른 것을 결정하는 일임

- 성격의 도덕적 무기이며 현실보다는 이상을, 쾌락보다는 완성을 위해 작용함

- 쾌락보다는 안정을 추구하고 현실적인 것보다 이상적인 것을 추구함

- 초자아는 성격의 도덕적인 부분이며 심판자로서 자아와 함께 작용하여 개인이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조절할 수 있게 해줌

 

 

2. 심리성적 발달단계 관점

 

1) 심리적 발달단계의 개념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격이 성적인 욕구와 관련하여 발달한다고 믿기 때문에 이를 심리성적 발달이라고 했음

⦁인간은 유아기부터 청소년기까지 5단계에 걸쳐 성격이 발달한다고 보았음

⦁각 발달단계는 리비도가 신체의 어느 특정 부위에 집중되느냐에 따라 구분된 것

⦁프로이드는 리비도의 성의 개념이 신체적 사랑, 정서적 충동, 자기애,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 그리고 우정의 감정까지도 포함한다고 생각함

 

2) 성격형성 단계

 

(1) 구강기(oral stage)

⦁출생에서 ~ 18개월까지의 기간

⦁유아의 일차적 활동은 젖을 먹는 것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활동은 입, 입술, 혀 같은 기관에 집중해 있음

⦁생존을 위해 타인에게 전적으로 의존함

⦁리비도가 추구하는 방향은 타인이 아닌 자기 자신에게만 국한됨

⦁생후 6개월까지는 주로 빠는 행위에서 쾌감을 느끼고 이후에는 깨무는 것으로 쾌감을 느낌

⦁구강기 동안 신체적, 정서적으로 무시당하거나 박탈당한 아이는 성인이 된 후 충족되지 못한 보살핌에 대한 강한 갈망을 경험하기 쉬우며, 타인에 대한 불신으로 대인관계가 어려울 수 있음

 

(2) 항문기(anal stage)

⦁18개월 ~ 3세까지의 기간

⦁에너지의 초점이 구강 영역에서 항문 영역으로 옮겨짐

⦁배변으로 생기는 항문 자극에 의해 쾌감을 얻으려는 시기

⦁변을 참거나 내보내는 배설과 관련된 활동은 즐거움을 주는 동시에 공격의 무기가 됨

⦁변을 보유하거나 방출하는 유아의 즐거움은 배변 훈련으로 통제하려는 부모 내지는 사회와 갈등을 겪게 됨

⦁배변훈련이 너무 엄격하면 유아는 일부러 지저분한 행동을 하기도 하고 성인이 되면 권위에 대한 불만을 불결, 무책임, 무질서, 고집, 인색함, 난폭, 분노, 적개심을 보이는 행동으로 표출하기도 함

⦁항문기 경험으로 아동은 구강기의 전적인 의존에서 벗어나 자기조절, 자립, 자부, 자존 등을 경험하고 배우게 되며 적절한 배변훈련은 창조성과 생산성의 기초가 됨

 

(3) 남근기(phallic stage)

⦁3세 ~ 5세까지의 기간

⦁아동의 모든 관심은 성기에 집중되어 있음

⦁아동의 주요 활동은 성기를 자극하고 자신의 몸을 보여주거나 혹은 다른 사람의 몸을 보면서 쾌감을 얻음

⦁아동은 자기중심적인 성향이 있으며, 사랑하고 사랑 받기를 원하며 특히 칭찬을 갈망함

⦁이 시기에 남아와 여아는 서로 다른 콤플렉스를 경험함

- 남자아이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여자아이 : 엘렉트라 콤플렉스

 

(4) 잠재기(latency stage)

⦁5세 ~ 사춘기 사이의 기간

⦁잠복기라고도 하며 성적 관심은 수면상태로 들어가 활동하지 않는다고 봄

⦁리비도는 승화되어 지적 관심, 운동, 동성 간의 우정, 공부 등으로 표출됨

⦁지금까지 발달한 초아자가 더욱 강화되면서 외디푸스적 욕망을 억제함

⦁부모와의 삼각 관계나 동성부모에 대한 동일시가 중단되는 시기로 볼 수 있으며, 동성인 또래와 어울림으로써 동성 간의 동일화와 자기성 확립 등 지속적인 사회화 시기로 볼 수 있음

 

(5) 생식기(genital stage)

⦁12세 전후의 사춘기에서 시작

⦁성기기라고도 하며 이 시기에는 성적 관심이 되살아나며, 그 관심 대상은 또래의 이성친구에게 옮겨지고 충분하게 사랑과 일을 할 수 있는 시기

⦁남녀 모두에게 2차 성징이 나타나며 이전 시기에 확립했던, 성적 주체성에 의해 성인으로 성장함

 

 

3. 자아방어기제의 이해

 

1) 안나 프로이드(1895~1982)

⦁프로이드의 막내딸

⦁방어기제이론, 아동발달, 유아기모자관계의 중요성 등을 연구한 아동정신 분석가

⦁저서 <자아와 방어기제>

⦁자신의 일상경험을 근거로 했으나 이론적 통찰의 주된 통찰은 아버지의 저서에 의존함

⦁성격의 변화는 방어기제의 조정과 대처에 따라 달라진다고 봄

 

2) 자아방어 : 자아가 불안에 대처할 때 작동하는 심리적 방어기제

⦁자아방어기제에는 억압, 반동형성, 퇴행, 동일시, 보상, 합리화, 대치, 전치, 투사, 상징화, 분리, 부정, 승화, 해리, 저항, 내면화, 원상복귀, 전환 등이 있음

⦁방어기제는 갈등의 원천을 왜곡하거나 대체하거나 차단하는데 이는 무의식적으로 채택되며 대부분 한 가지 이상의 방어기제가 동시에 동원되는 경우가 많음

⦁불안을 감소시키며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므로 정상인들도 자주 사용하게 되는데, 사회적응을 도모하고 정신건강을 향상시키기도 함

⦁불안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자기방어기제는 정신병리적 기능도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과다하게 사용하게 되면 심각한 정신병리를 야기하게 됨

 

[ 빈칸채우기 ]

 

1. 정신역동모델의 철학과 기본개념

⦁ 창시자 : (   )

- (   )과(   )의 해석 등을 통해 (   ) 세계를 연구함

 

⦁ 정신역동(psychodynamics)은 (   )이라고도 하며, 그 의미는 정신이 정체해 있기보다는 (   )인다는 것을 뜻함

⦁ 또한 (   )이라고도 하며 인간의 정신과 여러 가지 힘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이론으로 인간의 마음 속 깊은 곳에서 일어나는 서로 다른 다양한 힘들의 역동적인 (   )을 강조함

 

1) 정신역동모델의 철학적 기본 가정

⦁인간의 동기 중 생물학적 (   )가 일차적으로 중요성을 가짐

⦁인간의 행동은 목적이 있으나 (   )인 동기에 의해 크게 좌우됨

⦁인간의 마음 혹은 정신은 (   )한 힘들이 상호작용하는 에너지 체계임

⦁인간의 무의식적 동기 중에서 (   ) 욕구가 중요함

⦁어린 시절의 경험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   ) 경험을 통해 인간의 행동을 이해할 수 있음

⦁상담의 목표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무의식적인 동기를 (   )의 수준에서 이해하도록 하는데 있음

⦁사회는 개인이 에너지를 방출시키는 방법을 모두 허용하는 것이 아니고 일정 정도 (   )와 (   )을 가함 에너지를 방출하고 긴장을 감소시키고 싶은 개인과 통제를 가하는 사회는 (   )을 겪음

⦁인간 내부에는 (   )의 본능과 (   )의 본능이 있으며, 인간 내부에서도 (   ) 갈등이 생김

 

2) 정신역동모델의 주요 개념

 

(1) (   )의 수준(지형학적 관점, 마음의 구성)

 

① (   )

- 우리가 자신에게 주의를 기울이는 바로 그 순간에 알아차릴 수 있는 (   )과 (   )들을 뜻함

- 보고, 듣고, 만지고, 냄새 맡고, 맛보는 것과 같은 여러 가지 감각을 인식하고, 슬픔과 고통 같은 것을 쉽게 알아차릴 수 있는 정신생활의 영역, 깨어있을 때, 작용하는 영역임

 

② (   )

- 무의식은 정신내용의 대부분에 해당되며 인간 행동의 (   )가 됨

- 무의식의 내용들은 인간행동의 동기로 작용하기 때문에 프로이드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임

- 무의식은 정신의 가장 깊은 곳에 위치해 있으며, 우리가 지각하지 (   )하는 경험과 기억으로 구성됨

- 정신분석의 초점이 되는 부분이고 인간행동을 결정하는 주된 원인인데, 인식하거나 직접 확인할 수는 (   )

- 무의식은 인간 정신의 가장 크고 깊은 곳에 있으며 의식적 사고와 행동을 전적으로 (   )하는 힘

- (   )도 무의식의 일부분으로 나타남

 

③ (   )

- 의식과 무의식의 (   ) 지점에 있으면서 이 두 가지의 (   ) 역할을 함

- 현재는 의식하지 (   )하지만 조금만 노력하여 회상하려고 마음을 집중하면 전의식에 저장된 기억이나 지각, 생각 등을 의식으로 가져올 수 있음

 

(2) 성격의 구조

 

① (   )(id)

- 무의식 안에 감추어진 일차적인 정신의 힘

- 성격의 기초가 되는 기본 욕구와 충동을 대표함

- 인간이 생존하는 데 필요한 모든 (   )

- (   )원리(pleasure principle)의 지배를 받음

 

② (   )(ego)

- 원초아의 욕구를 현실적인 방법으로 충족시키기 위해 기능함

- 자아는 마음의 이성적인 요소이며, 출생하면서부터 (   )을 통해 발달함

- 원초아에 비해 자아는 (   )이고 (   )인 정신도구임

- 자아는 성격의 (   )로서 인간의 생각과 행동을 (   )함

- 자아는 개인이 객관적인 현실세계와 상호 작용할 필요가 있을 때 원초아에서 (   )됨

- 현실원칙(reality principle)에 따라 사회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방법을 발견할 때까지 쾌락을 추구하는 긴장해소는 (   )함

- 이성적인 차원에서 행동의 결과를 (   )하고 자신의 행동 과정을 (   )함

- (   )과정 : 본능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

ex) 배고픈 경우 음식에 대한 이미지나 환상을 갖는 것이 아니라 환경이 마련될 때까지 기다리거나 욕구충족을 보류시키는 것

 

③ (   )(superego)

- 3세~5세 사이에 발달하며, 부모가 아이에게 전달하는 사회의 (   )와 (   )을 말함

- 초자아는 (   )로부터 발달하는데, 주요 기능은 옳고 그른 것을 결정하는 일임

- 성격의 도덕적 무기이며 현실보다는 (   )을, 쾌락보다는 (   )을 위해 작용함

- 쾌락보다는 (   )을 추구하고 현실적인 것보다 이상적인 것을 추구함

- 초자아는 성격의 (   )인 부분이며 (   )로서 자아와 함께 작용하여 개인이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   )할 수 있게 해줌

 

 

2. 심리(   ) 발달단계 관점

 

1) 심리적 발달단계의 개념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격이 (   )인 욕구와 관련하여 발달한다고 믿기 때문에 이를 심리(   )발달이라고 했음

⦁인간은 유아기부터 청소년기까지 (   )단계에 걸쳐 성격이 발달한다고 보았음

⦁각 발달단계는 (   )가 신체의 어느 특정 부위에 집중되느냐에 따라 구분된 것

⦁프로이드는 리비도의 성의 개념이 (   ) 사랑, 정서적 (   ), (   ),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 그리고 우정의 감정까지도 포함한다고 생각함

 

2) 성격형성 단계

 

(1) (   )(oral stage)

⦁출생에서 ~ (   )개월까지의 기간

⦁유아의 일차적 활동은 젖을 먹는 것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활동은 입, 입술, 혀 같은 기관에 집중해 있음

⦁생존을 위해 타인에게 전적으로 의존함

⦁리비도가 추구하는 방향은 타인이 아닌 (   )에게만 국한됨

⦁생후 6개월까지는 주로 빠는 행위에서 쾌감을 느끼고 이후에는 깨무는 것으로 쾌감을 느낌

⦁구강기 동안 신체적, 정서적으로 무시당하거나 박탈당한 아이는 성인이 된 후 충족되지 못한 보살핌에 대한 강한 갈망을 경험하기 쉬우며, 타인에 대한 불신으로 대인관계가 어려울 수 있음

 

(2) (   )(anal stage)

⦁(   )개월 ~ (   )세까지의 기간

⦁에너지의 초점이 구강 영역에서 (   ) 영역으로 옮겨짐

⦁배변으로 생기는 항문 자극에 의해 쾌감을 얻으려는 시기

⦁변을 참거나 내보내는 배설과 관련된 활동은 즐거움을 주는 동시에 공격의 무기가 됨

⦁변을 보유하거나 방출하는 유아의 즐거움은 배변 훈련으로 통제하려는 부모 내지는 사회와 갈등을 겪게 됨

⦁배변훈련이 너무 (   )하면 유아는 일부러 지저분한 행동을 하기도 하고 성인이 되면 권위에 대한 불만을 불결, 무책임, 무질서, 고집, 인색함, 난폭, 분노, 적개심을 보이는 행동으로 표출하기도 함

⦁항문기 경험으로 아동은 구강기의 전적인 의존에서 벗어나 자기조절, (   ), 자부, 자존 등을 경험하고 배우게 되며 적절한 배변훈련은 (   )과 (   )의 기초가 됨

 

(3) (   )(phallic stage)

⦁(   )세 ~ (   )세까지의 기간

⦁아동의 모든 관심은 (   )에 집중되어 있음

⦁아동의 주요 활동은 성기를 자극하고 자신의 몸을 보여주거나 혹은 다른 사람의 몸을 보면서 쾌감을 얻음

⦁아동은 (   )인 성향이 있으며, 사랑하고 사랑 받기를 원하며 특히 (   )을 갈망함

⦁이 시기에 남아와 여아는 서로 다른 콤플렉스를 경험함

- 남자아이 : (   )

- 여자아이 : (   )

 

(4) (   )(latency stage)

⦁(   )세 ~ (   ) 사이의 기간

⦁(   )라고도 하며 성적 관심은 (   )상태로 들어가 활동하지 않는다고 봄

⦁리비도는 승화되어 지적 관심, 운동, 동성 간의 우정, 공부 등으로 표출됨

⦁지금까지 발달한 (   )가 더욱 강화되면서 오이디푸스적 욕망을 (   )함

⦁부모와의 삼각 관계나 동성부모에 대한 동일시가 (   )되는 시기로 볼 수 있으며, 동성인 또래와 어울림으로써 동성 간의 동일화와 자기성 확립 등 지속적인 (   ) 시기로 볼 수 있음

 

(5) (   )(genital stage)

⦁(   )세 전후의 (   )에서 시작

⦁ (   )기라고도 하며 이 시기에는 성적 관심이 되살아나며, 그 관심 대상은 또래의 이성친구에게 옮겨지고 충분하게 사랑과 일을 할 수 있는 시기

⦁남녀 모두에게 2차 성징이 나타나며 이전 시기에 확립했던, 성적 (   )에 의해 성인으로 성장함

 

 

3. 자아방어기제의 이해

 

1) 안나 프로이드(1895~1982)

⦁프로이드의 막내딸

⦁방어기제이론, 아동발달, 유아기모자관계의 중요성 등을 연구한 아동정신 분석가

⦁저서 <자아와 방어기제>

⦁자신의 일상경험을 근거로 했으나 이론적 통찰의 주된 통찰은 아버지의 저서에 의존함

⦁성격의 (   )는 (   )의 조정과 대처에 따라 달라진다고 봄

 

2) 자아방어 : 자아가 (   )에 대처할 때 작동하는 심리적 (   )

⦁자아방어기제에는 억압, 반동형성, 퇴행, 동일시, 보상, 합리화, 대치, 전치, 투사, 상징화, 분리, 부정, 승화, 해리, 저항, 내면화, 원상복귀, 전환 등이 있음

⦁방어기제는 갈등의 원천을 왜곡하거나 대체하거나 차단하는데 이는 무의식적으로 채택되며 대부분 한 가지 이상의 방어기제가 (   )에 동원되는 경우가 많음

⦁(   )을 감소시키며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므로 정상인들도 자주 사용하게 되는데, 사회적응을 도모하고 정신건강을 향상시키기도 함

⦁불안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자기방어기제는 정신병리적 기능도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   )하게 사용하게 되면 심각한 정신병리를 야기하게 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