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실천론

[1-3]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 핵심정리, 빈칸채우기

by 정 그릿 2022. 3. 17.
반응형

[ 핵심정리 ]

 

1.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1)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5단계

 

(1) 19세기말 20세기 초: 과학적 박애주의의 출현

 

① 자선조직협회(Charity Organization Society; COS)의 활동

 

㉠ 기원 : 18세기 중엽 영국에서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이주자들의 도시빈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성직자들과 부유한 자선가들을 중심으로 서비스 제공

㉡ 영국 최초의 자선조직협회 : 1869년 런던에 설립

㉢ 미국 최초의 자선조직협회 : 1877년 뉴욕 주의 버펄로에 설립

㉣ 우애방문단(friendly visitors) : 중산층 부인들로 구성된 자원봉사자들로서 빈곤가족에게 방문하여 가정생활, 아동에 대한 교육, 가계경제 등에 대한 조언 제공

㉤ 자선조직협회는 사랑에 기초한 기독교적 가치를 강조하면서도, 빈곤은 빈민들의 도덕성 결여에서 비롯된다는 개인주의적 빈곤관을 가짐.

㉥ 가정방문, 면담, 기록, 사례 연구 등을 수행했으며 개별적인 원조수행으로 개별사회복지실천의 초석이 됨, 1897년 뉴욕자선조직협회는 콜롬비아대학에서 공식적인 유급직원대상 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함.

㉦ 자선조직협회는 감사적인 자선활동을 과학적 자선 필요성 강조, 구제 신청자에 대해 체계적이고 면밀하게 조사하여 서비스의 중첩과 누락을 피하고자 했다.

 

② 인보관 운동(Settlement house movement)

㉠ 기원 : 지역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제를 가지고 있는 지역사회에 직접 나가 빈민과 함께 생활하면서 지역사회 환경의 개선 및 개혁과 빈민의 도덕적 교화에 힘써야 한다는 믿음

㉡ 제인 애덤스(Jane Adams) : 개인의 변화보다는 사회 환경의 변화에 무게를 더 두고 계몽운동과 사회복지실천 활동을 펼침

㉢ 영국 최초의 인보관 : 1884년 토인비홀(Toynbee Hall) 바네트 목사에 의함

㉣ 미국 최초의 인보관 : 1889년 시카고 헐 하우스(Hull-House) 제인 애덤스에 의해 설립

㉤ 인보관 운동은 개인중심보다는 집단사회사업, 사회행동 및 지역사회조직활동의 원조가 됨

㉥ 자선조직협회가 조직되었지만 한계에 부딪히게 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생김

㉦ 빈곤, 무지, 질병은 개인의 책임이 아니며 사회체계 그 자체가 문제라는 인식으로 생김

㉧ 기독교 사회주의적 사상에 입각하여 사회개혁적 접근으로 거시체계의 변화를 촉구하면서 유족연금프로그램만듦, 아동노동금지, 공적개혁과 사회보험 도입에 선구적인 역할

㉨ 빈곤의 해결은 자선의 형태나 개인적 접근보다는 사회적 환경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

 

(2) 사회복지실천 전문직을 향한 출발 (1910년대 )

 

① 전문적 교육의 등장

 

㉠ 자선조직협회의 유급 근무자들은 자원봉사자들을 교육, 조직, 관리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기준과 지침서 필요 → 사회복지실천교육의 필요성

㉡ 1900년에 필라델피아 자선조직협회의 책임자가 된 메리 리치몬드는 『사회진단(Social Diagnosis:1917 년)』 및 『개별사회사업이란 무엇인가?』를 저술하여 개별사회사업을 처음으로 과학적으로 체계화하여 사회복지실천의 전문화에 공헌하였다.

㉢ 1922년「개별실천이란 무엇인가(What is Social Case Work?), 환경 속의 인간 (Person-in-environment). 강조하기 시작함

㉣ 초기 사회복지실천은 의료 사회사업, 정신의료 사회사업, 아동복지 분야 등 실천에 바탕을 둔 현장 중심적인 교육이 주가 됨 → 의료 사회사업과 정신의료 사회사업은 의사들의 영향력 하에 이루어졌고, 정신과 의사들의 방법을 따라갈 수밖에 없었던 배경 이 됨

 

② 전문적 확립기의 결정적 근거

㉠ 전문적인 사회복지실천이론이 확립되었음

㉡ 사회복지조직이나 단체에 유급직원이 배치되었음

㉢ 전문적인 복지사업이 시작되었음

㉣ 사회복지 관련단체와 연맹을 전국 규모로 조직하였음

㉤ 사회복지관련 전국회의를 개최하였음

 

(3) 전문적 분화기 (1920년 후~1950년 전후)

 

① 3대 방법론으로 분화

㉠ 개별 사회사업

: 사회복지사는 개인적이고 사적인 영역(아동상담소, 병원 등)에 전문적인 사회복 지실천을 하였음

 

㉡ 집단사회사업

: 2차 대전 후 정신분석이 집단치료방법을 활용 군대나 사회복지관에서 집단지도자가 고용됨

 

㉢ 지역사회조직론

: 1930년 미국의 대공황으로 대량실업자로 빈곤이 개인의 결함이 아니라 사회구조의문제로 봄. 민간사회사업은 한계가 있어서 국가가 사회사업기관을 설립하면서 사회복지제도를 구축함. 공공복지프로그램이 증가되고 공공기관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 역할이 증가

 

② 사회복지실천 초점의 이동

㉠ 1920년대 프로이드의 정신역동학 이론이 사회복지 실천활동에 큰 영향

㉡ 정신과적 접근은 개인의 관찰 가능한 행동이나 주변 환경에 대한 관심보다는 정신 내부의 역동과정에 중심을 두고 개인으로 하여금 주변환경에 적응하도록 개인 내부의 정신상태를 변화시키는 것만을 강조

㉢ 환경 속의 인간.이라는 초기 사회복지실천의 중심은 개인의 내부 문제에 대한 초점으로 차츰 옮겨가게 되어 이러한 경향이 약 30년 간 지속됨

 

③ 진단주의 학파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의존하는 학파

㉡ 인간을 기계적, 결정론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인간은 무의식의 힘에 의하여 좌우되며 유년기의 내면화된 부모의 영향을 받음

㉢ 리치몬드의 {사회진단}의 흐름을 이어받으면서도 1930년대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의 개념과 방법을 적극 도입한 학파

㉣ 정신의학뿐 아니라 가족, 아동복지 기관에서도 널리 확대

㉤ 홀리스(F. Hollis)의 .심리사회적 모델로 체계화되어 현대 사회복지실천 모델의 하나로 발전적 계승

 

④ 기능주의 학파

㉠ 인간의 성격에 있어서 자아의 창조적 통합력을 인정하고, 클라이언트를 중심으로 스스로 자아를 전재하도록 원조함

㉡ 1930년대 대공황과 빈곤문제를 경험하게 되면서 신프로이드 학파인 랭크(Rank)가 진단주의에 비판을 가하고, 인지심리학에 기초를 둔 기능수의 수립

㉢ 기능주의는 질병이론이 아닌 성장이론. 치료 대신 원조 용어 사용

㉣ 펄만(H.Perlman)의 문제해결모델, 로저스(C.Rogers)의 클라이언트중심모델, 집단 사회사업기술을 포함한 .상호작용모델, 시스템 이론을 사용한 현대적 모델로 연결

㉤ 기능주의 논쟁은 사회복지의 관점에서 의학모델에서 생활모델로 전환하는 기초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큼

 

(4) 사회복지실천의 통합기(1970- 1990년대)

 

① 통합방법론의 등장

-사회복지실천은 사회복지사가 사회적 안녕상태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구체적 서비스들을 그 서비스가 요구되는 현장에서 실천에 옮기는 작업

-사회복지 실천방법은 지금까지 대상, 방법 및 범위에 따라 개별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조직 등 세 가지 방법으로 각각 발달, 교육되어 왔음

-1970년대 이후부터는 이 세 가지 실천방법을 하나의 통일된 실천가치, 실천지식, 실천 목적 및 실천기술 체계로 묶는 통합 작업이 진행되면서 통합방법론이 대두되기 시작하였음

-사회사업실천기술의 통합은 개별, 집단, 지역사회조직사업의 세 가지 틀을 넘어 서로 접근하게 되었으며, 사회행동, 조사, 관리행동 계획, 정책론을 포함한 거시적 방향으로 의 발전이 요구되었음

 

② 사회복지통합이론의 등장

- 핀커스와 미나한의 4체계모델: 4체계모델은 포괄적인 관점에서 클라이언트 체계를 사정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며 사회복지사는 실천과정에서 4가지 체계들과 상호작용한다.

 

- 골드스테인의 단일화모델

: 사회학습에 관한 사회복지사의 기능과 자원 확보 및 활용능력을 통해서 사회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 콤튼과 갤러웨이의 문제해결과정모델

: 문제해결과정모델은 문제의 해결 자체보다는 과정이나 단계에서의 활동에 중점을 두었다.

 

- 저메인과 기터만의 생활모델

: 생활모델은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으로 문제나 개인적 장애뿐만 아니라 생활과의 맥락 속에서 파악하는 통합적 관점을 취한다.

 

(5) 사례관리의 발전 1990년 이후

- 클라이언트와 전문 사회복지사라는 관계를 넘어서 가족을 전체로 받아들이고 클라이언트의 생활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 위에 필요한 서비스를 조정해주는 사례관리(case management)나 자조그룹 활동에 대한 지원을 포함한 지지 네트워크 형성 등 과거 미시적 수준의 원조와 거시적 수준의 원조를 통합한 새로운 영역으로 넓혀가고 있음

-1980년대부터 사회복지실천분야에서 만성장애인이나 만성질환자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 1984년 미국사회복지사협회는 기능 손상자를 위한 사회복지실천 사례관리의 기준과 지침을 제정함. 그 이후 정신장애, 노인, 아동, 신체장애 등 다양한 사회복지영역에서 사례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

- 1992년 공식적으로 {사회복지실천 사례관리} 용어 사용됨.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에게 필요한 서비스, 자원, 기회를 제공하는 체계와 클라이언트를 연결해주고 모니터와 평가하고 옹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 점차적으로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을 요구하며 클라이언트의 복합적 욕구를 충족하기위한 서비스패키지를 배정하고 조정하며 점검하는 기능을 수행함.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구청, 시청의 아동드림센터,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건강가정지원센터, 정신보건센터, 보건소 등에서 모두 사례관리를 하며 그것으로 평가를 받고 있다.

 

[ 빈칸채우기 ]

 

1.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1)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5단계

 

(1) 19세기말 20세기 초: 과학적 박애주의의 출현 ▶ 태동기

 

① (   ) (Charity Organization Society; COS)의 활동

 

㉠ 기원 : 18세기 중엽 영국에서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이주자들의 (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성직자들과 부유한 자선가들을 중심으로 서비스 제공

㉡ 영국 최초의 자선조직협회 : 1869년 (   )에 설립

㉢ 미국 최초의 자선조직협회 : 1877년 (   ) 주의 버펄로에 설립

㉣ (   ) : (   )층 부인들로 구성된 (   )들로서 빈곤가족 에게 방문하여 가정생활, 아동에 대한 교육, 가계경제 등에 대한 조언 제공

㉤ 자선조직협회는 사랑에 기초한 (   )적 가치를 강조하면서도, 빈곤은 빈민들의 도덕성 결여에서 비롯된다는 (   )적 빈곤관을 가짐.

㉥ (   ) 면담, 기록, (   ) 연구 등을 수행했으며 (   )적인 원조수행으로 (   )사회복지실천의 초석이 됨, 1897년 뉴욕자선조직협회는 콜롬비아대학에서 공식적인 (   )직원대상 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함.

㉦ 자선조직협회는 감사적인 자선활동을 (   )적 자선 필요성 강조, 구제 신청자에 대해 체계적이고 면밀하게 조사하여 서비스의 중첩과 누락을 피하고자 했다.

 

② (   )

㉠ 기원 : 지역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제를 가지고 있는 지역사회에 직접 나가 빈민과 함께 생활하면서 지역사회 환경의 개선 및 개혁과 빈민의 도덕적 교화에 힘써야 한다는 믿음

㉡ (   ) : 개인의 변화보다는 (   ) 환경의 변화에 무게를 더 두고 계몽운동과 사회복지실천 활동을 펼침

㉢ 영국 최초의 인보관 : 1884년 (   ) 바네트 목사에 의함

㉣ 미국 최초의 인보관 : 1889년 시카고 (   ) 제인 애덤스에 의해 설립

㉤ 인보관 운동은 개인중심보다는 (   )사업, 사회행동 및 (   )조직활동의 원조가 됨

㉥ (   )가 조직되었지만 한계에 부딪히게 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생김

㉦ 빈곤, 무지, 질병은 (   )의 책임이 아니며 (   ) 그 자체가 문제라는 인식으로 생김

㉧ 기독교 사회주의적 사상에 입각하여 (   )적 접근으로 (   )체계의 변화를 촉구하면서 유족연금프로그램만듬, 아동노동금지, 공적개혁과 사회보험 도입에 (   )인 역할

㉨ 빈곤의 해결은 자선의 형태나 개인적 접근보다는 (   )적 환경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

 

(2) 사회복지실천 전문직을 향한 출발 (1910년대 ) ▶ 확립기

 

① (   )적 교육의 등장

 

㉠ 자선조직협회의 (   ) 근무자들은 자원봉사자들을 교육, 조직, 관리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기준과 지침서 필요 → 사회복지실천교육의 필요성

㉡ 1900년에 필라델피아 자선조직협회의 책임자가 된 (   )는 『사회진단(Social Diagnosis:1917 년)』 및 『개별사회사업이란 무엇인가?』를 저술하여 (   )사회사업을 처음으로 (   )적으로 체계화하여 사회복지실천의 (   )화에 공헌하였다.

㉢ 1922년「개별실천이란 무엇인가(What is Social Case Work?), (   ) 속의 인간 (Person-in-environment). 강조하기 시작함

㉣ 초기 사회복지실천은 의료 사회사업, 정신의료 사회사업, 아동복지 분야 등 실천에 바탕을 둔 현장 중심적인 교육이 주가 됨 → 의료 사회사업과 정신의료 사회사업은 (   )들의 영향력 하에 이루어졌고, 정신과 의사들의 방법을 따라갈 수밖에 없었던 배경 이 됨

 

② 전문적 확립기의 결정적 근거

㉠ 전문적인 (   )이 확립되었음

㉡ 사회복지조직이나 단체에 (   )직원이 배치되었음

㉢ (   )적인 복지사업이 시작되었음

㉣ 사회복지 관련단체와 연맹을 (   ) 규모로 조직하였음

㉤ 사회복지관련 (   )를 개최하였음

 

(3) 전문적 분화기 (1920년 후~1950년 전후)

 

① 3대 방법론으로 분화

㉠ (   )

: 사회복지사는 개인적이고 사적인 영역(아동상담소, 병원 등)에 전문적인 사회복 지실천을 하였음

 

㉡ (   )

: 2차 대전 후 정신분석이 집단치료방법을 활용 군대나 사회복지관에서 집단지도자가 고용됨

 

㉢ (   )

: 1930년 미국의 대공황으로 대량실업자로 빈곤이 개인의 결함이 아니라 사회구조의문제로 봄. 민간사회사업은 한계가 있어서 국가가 사회사업기관을 설립하면서 사회복지제도를 구축함. 공공복지프로그램이 증가되고 공공기관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 역할이 증가

 

② 사회복지실천 초점의 이동

㉠ 1920년대 (   )의 정신역동학 이론이 사회복지 실천활동에 큰 영향

㉡ 정신과적 접근은 개인의 관찰 가능한 행동이나 주변 환경에 대한 관심보다는 정신 내부의 역동과정에 중심을 두고 개인으로 하여금 주변환경에 적응하도록 개인 내부의 (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만을 강조

㉢ (   ) 속의 인간.이라는 초기 사회복지실천의 중심은 (   )의 내부 문제에 대한 초점 으로 차츰 옮겨가게 되어 이러한 경향이 약 30년 간 지속됨

 

③ 진단주의 학파

㉠ (   )의 정신분석학에 의존하는 학파

㉡ 인간을 (   )적, (   )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인간은 (   )의 힘의 의하여 좌우되며 유년기의 내면화된 (   )의 영향을 받음

㉢ 리치몬드의 (   )의 흐름을 이어받으면서도 1930년대 (   )의 정신분석학 의 개념과 방법을 적극 도입한 학파

㉣ 정신의학뿐 아니라 가족, 아동복지 기관에서도 (   )

㉤ (   )의 .심리사회적 모델로 체계화되어 현대 사회복지실천 모델의 하나로 발전적 계승

 

④ 기능주의 학파

㉠ 인간의 성격에 있어서 자아의 창조적 (   )을 인정하고, 클라이언트를 중심으로 스스로 (   )를 전재하도록 원조함

㉡ 1930년대 대공황과 빈곤문제를 경험하게 되면서 신프로이드 학파인 (   )가 진단주의에 비판을 가하고, 인지심리학에 기초를 둔 기능주의 수립

㉢ 기능주의는 질병이론이 아닌 (   ). 치료 대신 (   ) 용어 사용

㉣ (   )의 문제해결모델, (   )의 클라이언트중심모델, 집단 사회사업기술을 포함한 (   ), 시스템 이론을 사용한 (   )로 연결

㉤ 기능주의 논쟁은 사회복지의 관점에서 (   )모델에서 (   )모델로 전환하는 기초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큼

 

(4) 사회복지실천의 통합기(1970- 1990년대)

 

① 통합방법론의 등장

-사회복지실천은 사회복지사가 사회적 안녕상태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구체적 서비스들을 그 서비스가 요구되는 현장에서 실천에 옮기는 작업

-사회복지 실천방법은 지금까지 (   ), (   ) 및 (   )에 따라 개별사회사업, (   ), 지역사회조직 등 세 가지 방법으로 각각 발달, 교육되어 왔음

-1970년대 이후부터는 이 세 가지 실천방법을 하나의 통일된 실천가치, 실천지식, 실천 목적 및 실천기술 체계로 묶는 통합 작업이 진행되면서 (   )이 대두되기 시작하였음

-사회사업실천기술의 통합은 (   ), (   ), (   )의 세 가지 틀을 넘어 서로 접근하게 되었으며, 사회행동, 조사, 관리행동 계획, 정책론을 포함한 (   )적 방향으로 의 발전이 요구되었음

 

② 사회복지통합이론의 등장

- 핀커스와 미나한의 (   )

: 4체계모델은 포괄적인 관점에서 클라이언트 체계를 사정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며 사회복지사는 실천과정에서 4가지 체계들과 상호작용한다.

 

- 골드스테인의 (   )

: 사회학습에 관한 사회복지사의 기능과 자원 확보 및 활용능력을 통해서 사회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 콤튼과 갤러웨이의 (   )

: 문제해결과정모델은 문제의 해결 자체보다는 과정이나 단계에서의 활동에 중점을 두었다.

 

- 저메인과 기터만의 (   )

: 생활모델은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으로 문제나 개인적 장애뿐만 아니라 생활과의 맥락 속에서 파악하는 통합적 관점을 취한다.

 

(5) 사례관리의 발전 1990년 이후

- 클라이언트와 전문 사회복지사라는 관계를 넘어서 가족을 전체로 받아들이고 클라이언트의 생활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 위에 필요한 서비스를 조정해주는 (   )나 자조그룹 활동에 대한 지원을 포함한 지지 네트워크 형성 등 과거 미시적 수준의 원조와 거시적 수준의 원조를 (   )한 새로운 영역으로 넓혀가고 있음

-1980년대부터 사회복지실천분야에서 만성장애인이나 만성질환자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 1984년 미국사회복지사협회는 기능 손상자를 위한 사회복지실천 사례관리의 기준과 지침을 제정함. 그 이후 정신장애, 노인, 아동, 신체장애 등 다양한 사회복지영역에서 사례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

- 1992년 공식적으로 (   ) 용어 사용됨.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에게 필요한 서비스, 자원, 기회를 제공하는 체계와 클라이언트를 연결해주고 (   )와 (   )하고 (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 점차적으로 사회복지사의 (   )을 요구하며 클라이언트의 복합적 (   )를 충족하기위한 서비스패키지를 (   )하고 (   )하며 (   )하는 기능을 수행함.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구청, 시청의 아동드림센터,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건강가정지원센터, 정신보건센터, 보건소 등에서 모두 (   )를 하며 그것으로 (   )를 받고 있다.

 

반응형

댓글